• 검색

대우조선 후폭풍 '일파만파'..삼성중공업 '불똥'

  • 2015.07.17(금) 16:13

삼성중공업 1조원대 부실 의혹에 주가 급락
"조단위 부실 아니다" 항변..조선 빅3 실적 전망 우울

대우조선해양의 대규모 부실 후폭풍이 조선업계 전반으로 번지고 있다. 일각에서 삼성중공업도 해양플랜트 부문 부실이 추가로 더 발생될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조선업계 전체가 불안감에 휩싸인 상태다. 국내 조선 빅 3들이 대부분 해양부문의 비중이 높은데 따른 의혹 제기인 것으로 보인다.

삼성중공업은 다소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2분기에 좋은 실적을 거두지는 못하겠지만 일부에서 제기되는 규모만큼의 부실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 부실로 큰 충격을 받은 시장은 이를 믿지 않고 있다. 조선 빅3의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

◇ 기술이 없으니..손해만 보는 해양부문

대우조선해양은 작년 조선 빅 3중 가장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중공업은 같은 기간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손실을 입었고 삼성중공업도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80% 감소했다. 유독 대우조선해양만이 4711억원의 흑자를 거뒀다.

 

국내 조선 빅 3들은 최근 수년간 해양부문의 비중을 늘려왔다. 글로벌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선주사들의 발주가 끊어졌다. 하지만 오일 메이저들은 해양부문의 발주를 늘리기 시작했다. 당시 국제 유가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었던 터라, 해양부문 개발은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올랐다.

 

▲ 대우조선해양의 해양부문 부실 은폐 의혹이 본격적으로 제기되면서 다른 조선업체들에 대한 시장의 시선이 곱지 않다. 국내 조선 빅3들은 지난 수년간 해양부문 수주에 집중하면서 해양부문에 대한 비중이 높아진 상태다. 하지만 고급 기술이 없어 시간이 지날 수록 손해만 보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선 발주가 끊긴 국내 조선 빅 3들은 대거 해양부문으로 눈을 돌렸다. 해양부문은 높은 수준의 기술을 요구하는 만큼 전체 공사 액수가 컸다. 국내 조선 빅 3들은 가뭄끝에 단비를 만난듯 해양부문 수주에 열을 올렸다. 특히 예전부터 해양부문의 비중이 높았던 대우조선해양의 수주는 더 많았다.
 
하지만 국내 빅 3들이 해양부문과 관련된 고급 기술들을 보유하지 못했다는 점이 문제였다. 그러다보니 오일 메이저들과 오랜기간 거래관계를 맺어온 소수 엔지니어링 업체들의 하청을 받는 수준에 불과했다. 철저한 종속관계였던 셈이다. 해양부문은 사업 특성상 설계변경이 잦다. 이는 모두 비용이 발생하는 부분이다. 조선 빅 3들이 제 때 공사기간을 맞추지 못하고 선박 인도가 늦어지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선박인도가 지연되고 다시 건조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국내 조선 빅 3들은 큰 손실을 입게 됐다. 대우조선해양도 그동안 해양부문에서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났지만 이를 감췄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작년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이 때문에 대규모 공사손실충당금을 쌓았다. 이 탓에 실적은 급락했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은 이를 실적에 반영하지 않았다.

◇ 삼성중공업으로 튄 '부실 불똥'

대우조선해양은 부실 은폐 의혹이 제기되면서 큰 비난을 받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은폐가 분식회계였는지 아니었는지도 쟁점이 되고 있다. 나아가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의 책임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이 부실을 감춰온 것을 산업은행은 정말 몰랐느냐는 것에 대한 의혹이다.
 
이유야 어찌됐건 대우조선해양은 시장과 업계의 비난을 피해갈 수 없는 상황이다. 2분기 실적 급락은 물론 최소한 올해 4분기까지 부실 은폐의 후폭풍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문제는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은폐 의혹이 다른 조선업체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예가 삼성중공업이다.

삼성중공업은 최근 1조원대의 숨겨진 부실이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큰 곤욕을 치르고 있다. 그 근거는 지난 2013년 수주한 30억 달러 규모의 나이지리아 에지나 FPSO 프로젝트의 공사가 지연됐기 때문이다. 지난 5월 나이지리아 라고스 연방고등법원이 이 프로젝트 공사 중지 명령을 내린 것이 화근이 됐다.

▲ 대우조선해양 부실 후폭풍이 삼성중공업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일각에서 삼성중공업이 해양부문의 공사지연 등으로 약 1조원대의 손실을 입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삼성중공업으의 주가는 급락했다.

여기에 지난 2012년 수주한 27억 달러 규모의 호주 이치스 CPF(해양가스설비)도 설계 변경으로 큰 손실을 입은 것으로 전해지면서 대우조선해양에 이어 삼성중공업까지 해양부문 부실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시장 일각에서는 작년 삼성중공업이 해양부문 부실에 대비해 쌓았던 공사손실충당금의 규모가 너무 작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작년 삼성중공업은 공사손실충당금으로 5000억원을 쌓았다.

하지만 삼성중공업은 다소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일부 해양부문의 공사 지연은 사실이지만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1조원 규모의 부실은 지나치게 과장됐다는 것이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2분기 실적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맞다"며 "하지만 1조원 규모까지 손실이 나는 정도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결산 중이어서 정확한 숫자는 나와봐야 알겠지만 최근 제기되는 의혹은 과장됐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중공업이 작년에 쌓은 공사손실충당금 규모가 현대중공업에 비해 적은 것은 맞지만 당시 현대중공업은 '빅 배스'를 시행하던 시기였고 삼성중공업은 아니었다"며 "일부 공사 지연으로 손실이 발생하고는 있지만 조(兆)단위 까지는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 파편 맞은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하지만 삼성중공업의 항변에도 불구, 대우조선해양에 놀란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17일 삼성중공업의 주가는 전일대비 12.39% 하락한 1만4500원에 장을 마쳤다. 현대중공업도 전일대비 6.31% 하락한 10만4000원을 기록했다.

시장의 이런 반응은 그만큼 조선업에 대한 시장의 시선이 회의적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업황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최근에는 저유가로 해양부문 마저 발주가 뜸한 상태였다. 여기에 과거에 수주한 저가 물량들이 실적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조선업체들의 부실은 언제터질지 모르는 뇌관이었다.

▲ 업계에서는 최소한 올해 4분기까지 국내 조선 빅3의 실적은 계속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이번 대우조선해양 사태로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에 대한 우려가 지나치게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결국 대우조선해양의 부실이 이 뇌관에 불을 당긴 셈이다. 최근 국내 조선 빅 3의 실적은 비우호적인 경영여건 지속으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해양부문 비중이 과거에 비해 높아진 만큼 이 부문에서 발생한 부실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 구조다. 따라서 시장에서는 적어도 올해 4분기까지는 조선 빅 3의 실적 회복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여기에 채권단이 다음 주부터 대우조선해양의 부실에 대한 본격적인 실사에 나서기로 하면서 업계에 내재돼 있던 불안의 불씨가 본격적으로 불이 붙기 시작했다는 관측이다. 채권단의 실사 결과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의 향후 방향이 정해지겠지만 현재로서는 비관적인 시각이 더 많다. 이는 곧 대우조선해양발 불씨가 업계 전반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계 관계자는 "2분기 조선 빅3의 실적이 좋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곳은 단 한 곳도 없다"며 "다만 손실을 얼마나 볼 것인가 하는 규모가 문제인데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숨겼던 부실이 드러난 만큼 그 충격이 더욱 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