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현대차 파업 Key]②勞勞간 암투의 '희생양'

  • 2013.09.02(월) 13:33

7개 계파 역관계가 파업 여부, 수위 결정

현대차 노조 파업은 노조 지도부의 계파 성격과 계파 간 역관계에 따라 수위가 결정된다.


2년에 한번씩 돌아오는 노조 지부장 선거에 현대차가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강성 계파가 집권하면 그 해 파업 강도는 세진다. 온건·실리 계파가 권력을 잡으면 그 반대다. 지난 2009년~2011년이 대표적이다.

현대차 노조 내부에는 총 7개 계파가 활동하고 있다. 이중 강성으로 분류되는 계파는 3개('금속연대' '민투위' '민주현장')다. 문용문 현 지부장은 민주현장 소속이다. 중도파로는 '현민노' '들불' '소통과 연대' 등이 있다.

 

실리파로는 '현장노동자'가 있다. 이 조직은 과거 3년 연속 무분규 임단협 타결 당시 지부장이었던 이경훈 전 지부장 소속의 '전진하는 현장 노동자회'가 확대·개편된 조직이다.

 

◇ 치열하게 경쟁중인 7개 계파

각 계파 소속 조직원은 적게는 40여명에서 많게는 500여명까지 다양하다. 이들은 지부장 선거를 앞두고 계파간 후보 단일화 등 합종연횡을 하기도 한다. 조직의 세(勢)를 유지·확대하기 위해서다. 기존 정치판의 모습과 다를 바 없다.

실제로 지난 2011년 노조 지부장 선거에서는 강성파인 민주현장과 금속연대가 후보를 단일화했다.

 


하지만 이들 계파가 언제나 연대하는 것은 아니다. 각 계파 간 이해득실을 놓고 치열한 암투를 벌인다. 지부장 선거 당시 손 잡았던 금속연대와 민주현장은 작년 임금협상 때 크게 충돌했다.

민주현장 소속 노조 교섭위원들이 사측과 잠정합의할 뜻을 비추자 금속연대 소속 노조원들은 교섭장을 반나절 동안 봉쇄했다. 계파간 갈등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 계파들의 '복심(腹心)'은?

현재 벌어지고 있는 파업에도 계파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충돌하고 있다. 다음 달로 다가온 차기 노조 지부장 선거 때문이다.

문용문 현대차 노조 지부장은 최근 "임단협 승리를 위해 차기 지부장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했다. 노조가 차기 선거 때문에 임단협 파업을 벌인다는 외부의 시각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다. 그만큼 노조도 이번 파업에 차기 지부장 선거가 중요 변수임을 알고 있다.

 


파업을 둘러싼 계파간의 생각은 모두 다르다. 현 집행부인 강성 계파는 파업 확대를 주장한다. 차기 집권을 위해서는 성과를 내야한다. 노조원들에게 임금과 성과급 인상이라는 '가시적인' 실리를 안겨줘야한다.

온건 계파들도 표면적으로는 파업을 찬성하고 있다. 다만 속내는 다르다. 차기 집권을 노리는 온건 계파들은 파업 장기화를 유도해 현 집행부의 지도력에 흠집을 내겠다는 계산이다.

이는 노조원들의 경제적 피해로 이어진다. 차기 선거에서 현 지도부를 끌어 내릴 수 있는 좋은 빌미다. 온건 계파의 노림수는 여기에 있다. 그야말로 '동상이몽'이다.

◇ 지도부 선거에 목매는 이유

그렇다면 노조 계파들은 왜 지부장 선거에 목을 매는 것일까.

현대차 노조원은 총 4만5000여명에 달한다. 웬만한 소도시 인구와 맞먹는다. 한 해 노조 예산만 200억원이 넘는다. 노조 지부장이 되면 공장장은 물론 지역 국회의원과도 동등한 입장에서 만날 수 있다. 일종의 '권력'이다.

여기에 상급단체인 민주노총, 금속노조와 기존 정치권에 진입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지난 2006년 현대차 노조위원장이었던 박유기씨는 2009년 금속노조위원장이 됐다. 이효선 전 광명시장은 현대차 노조에서 노조판매부장과 노조협의회 의장 등을 역임했다.

 


정계로 진출한 사례도 있다. 정갑득 전 현대차 노조위원장은 지난 2005년 민주노동당 소속으로 울산 북구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다. 당시 부위원장이었던 이영희씨는 작년 통합진보당 비례대표로 출마했다.

이경훈 전 현대차 노조 지부장은 작년 총선에서 통합진보당 소속으로 울산 남구갑에 출마했다. 지난 대선 때에는 민주당 문재인 후보 캠프의 노동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시의원 등은 말할 것도 없다. 노조 집행부 경력은 정계 진출을 위한 '마패'와도 같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는 부인하겠지만 그들은 이미 노동계를 비롯해 정계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전국적인 이익집단이 됐다"며 "파업에 대한 여론이 늘 안좋은 것도 그들 스스로 권력을 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