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보험료는 오르고 선택권은 줄고...팍팍해진 보험

  • 2016.08.24(수) 11:06

가격 자율화, 경영 환경 악화로 보험료 줄인상
소비자 선택권 확대는 말만…되레 점점 더 축소

금융위원회가 보험 규제 완화를 추진하면서 보험료가 줄줄이 오르고 있다. 

반면 소비자들의 선택권은 오히려 좁아지고 있다. 경영 환경 악화를 이유로 보험사들이 '돈 되는' 상품만 내놓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어서다. 

◇ 보험사 실적 주춤…경영 환경 악화 탓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올해 상반기 전체 보험사의 당기순이익은 4조 324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조 4737억원보다 3.3% 감소했다.

특히 생명보험사들의 실적이 나빠진 영향이 컸다. 생보사 당기순이익은 2조 297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7.9%나 감소했다. 수입보험료는 52조 3216억원으로 증가세가 지난해 같은 기간 5.6%에서 3.9%로 둔화했고, 투자영업이익 역시 11조 292억원으로 1.9% 감소했다.

▲ 자료=금융감독원

생보사들의 실적 악화는 예견된 일이었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하면서 기존에 팔았던 고정금리형 저축성 보험이 역마진 부담을 주고, 2020년 도입 예정인 국제회계기준 IFRS4 2단계로 인한 부담까지 더해지면서다.

이에 따라 생보사들은 지난해부터 리스크가 큰 저축성 보험 판매를 대폭 줄이고, 대신 보장성 보험 판매에 주력해왔다.

생보사들은 이와 함께 올 하반기에도 상반기에 이어 보험료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과거 6~8%대의 고금리 확정형 상품은 판매한 생보사들은 최근 저금리로 역마진 부담이 가속화해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다. 이 경우 올해에만 보험료가 10% 이상 오르게 된다.

◇ 생보사 '저해지' 상품 붐…불완전 판매 우려


문제는 생보사들이 생존 전략에 치중하면서 소비자들의 선택권은 점점 좁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생보사들은 동양생명 정도를 제외하면 저축성 보험에 대해 이율은 낮추는 방식으로 비중을 줄이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국내 생보사의 저축성 보험의 비중은 여전히 60% 이상이지만, 저성장 시대에 진입한 일본처럼 점차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이미 저축성 보험을 통한 재테크의 매력은 떨어진 지 오래다.

보장성 보험 중에선 저성장 시대에 특화한 상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최근 생보업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저해지 종신보험의 경우 보험료를 낮추는 방식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해준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한편에선 불완전 판매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보험료 납입 기간 중 상품을 해지할 경우 환급금을 거의 받지 못하는 특성을 소비자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상품은 일부 중소 생보사에서 출시해 인기를 끈 이후 삼성생명과 교보생명 등 대형사도 유사 상품을 출시했거나 검토하고 있다. 최근엔 손해보험 업계에서도 비슷한 상품을 내놓기 시작했다. 
관련기사 ☞ [포스트]보험료 싸다고 덥석? 잘 따져보세요

◇ 손보사 차보험 심사 강화…가입 거절 급증

이런 현상은 비교적 경영 환경이 나은 손보업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손해보험사들은 금융당국이 보험 상품·가격 자율화를 추진한 직후인 지난해 하반기 일제히 차 보험료를 인상하며 실적이 나아지고 있다.

손해보험사들은 이와 함께 손해율 급증을 이유로 자동차보험 가입 심사를 대폭 강화하는 추세다. 동부화재와 메리츠화재 등이 안전운전 점수에 따라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상품을 내놓은 것도 '우량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일환이다.

반면 '불량 물건'으로 분류된 소비자들은 보험 갱신이나 가입이 거절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위험 계약에 대해 개별 보험사가 인수를 거절할 경우 보험사가 이를 공동 인수해 보험 처리를 해주는데, 이런 공동인수가 지난해 무려 13만 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인수는 2013년 1만 6000여 건에서 2014년 3만 7000여 건 등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손보사들은 불량 물건을 줄이며 손해율을 개선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보험료를 최고 50%까지 할증된 보험료를 내야 하는 상황에 처하고 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