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6년 만에 저축은행의 PF 대출 눈물이 멈췄다

  • 2014.12.19(금) 09:30

30개사 무너뜨린 부동산 PF 부실 7.4조
캠코 매각분 9천억 최근 환매해 사실상 마무리
금융위도 중금리 시장 지원해 턴어라운드 기대

저축은행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의 구조조정이 장장 6년 만에 마무리됐다.


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한 저축은행의 PF 채권 잔액 1조 311억 원 가운데 대부분인 9000여억 원을 최근 저축은행이 되사왔다. 관련 채권의 손실처리도 모두 끝냈다. 신규 부실이 발생하지 않는 한 기존 PF대출로 인한 추가적인 손실은 없을 전망이다.


캠코에 남아 있는 PF대출 잔액도 자체 매각 등으로 이달 모두 정리하면서 저축은행의 '눈물의 씨앗'이자 악몽이었던 PF대출의 구조조정이 올해 사실상 끝난 셈이다. 앞서 업계 재편도 마무리되면서 내년부턴 저축은행의 조심스러운 '턴어라운드'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 3·4차 캠코 매각분 최종 환매

저축은행이 캠코에 매각한 PF 채권 가운데 남아 있는 물량은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1조 311억 원. 이 가운데 9558억 원어치를 저축은행이 우선매수권 행사를 통해 지난달 캠코로부터 환매했다. 캠코에 남아 있는 753억 원의 채권 역시 최근까지 자체 매각 등으로 모두 정리했다. 지난 2008년 12월 캠코에 최초로 매각을 시작한 이후 6년 만이다.

저축은행은 PF 채권 잔액 중 76%에 해당하는 7859억 원을 충당금 적립 등으로 손실 처리했다. 남은 채권은 2452억 원에 불과하다. 개별 저축은행 입장에서 보면 PF대출 부실을 사실상 다 털어냈다.

저축은행들은 전체 매각 PF 채권의 76%를 지난 9월말까지 분기별로 나눠서 충당금으로 쌓아왔다. 따라서 환매 자체가 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다만 이 채권을 되사오면서 위험가중자산이 늘어 BIS비율은 사별로 평균 0.2%포인트 정도 떨어질 전망이다. 부실채권비율도 9월 말 17.6%에서 18.6%로 조금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금융감독원은 환매한 PF대출을 조기매각 하는 등 적극적으로 처분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 6년간 PF 채권 7.4조 원 캠코 매각



저축은행의 PF대출은 지난 2010년 말 무려 17조 4000억 원(캠코 매각분 포함)까지 늘어나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권은 PF대출을 중단했지만, 저축은행은 이를 계속 늘리면서 결국 부실 폭탄을 떠안았다. 


금감원은 저축은행의 PF대출 부실이 시스템리스크로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지난 2008년 이후 PF 사업장 실태조사를 세 차례 실시했다. 이 조사결과를 토대로 네 차례에 걸쳐 68개 저축은행의 부실 우려 PF 채권 7조 4000억 원어치를 캠코에 매각했다.

저축은행이 가진 부동산 PF대출에 대한 구조조정이었지만 이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30개의 저축은행이 구조조정을 당했다. 산업 구조조정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들 중 대부분은 최종적으로 문을 닫았고 일부는 가교저축은행을 통해 다시 매각됐다.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기 전인 지난 2010년 말 105개였던 저축은행은 현재 80개로 줄었다.

◇ 저축은행 PF대출 악몽 털고 새 출발

 

▲저축은행 수는 지난 5월 기준 87개였지만 최근 추가 인수·합병(M&A)을 통해 80개로 줄었다. (자료 금융위)



지난 7월엔 일본계 대부업체인 러시앤캐시가 예주·예나래저축은행을 인수하면서 구조조정 과정에서 예금보험공사가 관리하던 10개 저축은행이 모두 매각, 정리됐다. 

이렇듯 업계 재편이 마무리된 데 이어 PF대출 부실도 모두 정리돼 내년부터는 저축은행도 재도약을 꾀할 수 있게 됐다. 지난 6월 말 저축은행이 올해 1분기 결산에서 6년 만에 처음으로 흑자로 전환한 것은 새 출발 하는 저축은행업계의 청신호로 받아들여진다.


금감원 관계자는 "그동안의 부실은 모두 털어냈기 때문에 이제 구조조정 이슈는 사실상 끝났다"며 "내년부터는 영업력과 수익성을 높일 방안들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차원에서 금융당국은 개인신용대출 시장에서 10% 초반부터 20% 중반대의 중금리 시장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현재는 25% 이상의 고금리 시장에서 저축은행들이 대부업체와 경쟁하고 있어 중금리 대 시장이 거의 형성돼 있지 않다는 분석이다. 저축은행들이 중금리 대출 시장을 개척하고, 활성화함으로써 서민금융을 확대하는 동시에 저축은행의 수익력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