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떴다! 자율주행차]②車-ICT 생각한 비즈모델은

  • 2016.11.30(수) 17:15

자동차-ICT 기업, '카쉐어링 반갑다'
인프라 구축·핵심기술 개발 필요

운전으로부터의 자유. 자율주행차가 만드는 미래를 요약하라면 이렇게 쓸 수 있다. 그 자유는 운전자에게 시간과 공간의 자유를 줄 것이고, 늘어난 시공간에서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싹틀 것으로 보인다. 자율주행차가 한국경제에 주는 이익이 2030년 38조원에 달할 것이란 계산이 나올 정도다. 국내외 자동차·정보통신기술(ICT) 업계의 경쟁 현황이 어떤지 살펴봤다. [편집자]
 
▲ 그래픽: 유상연 기자 prtsy201@

 

자율주행차는 현대·기아차 같은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통신사인 SK텔레콤,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등 차를 만든 적도 없는 회사까지 뛰어들고 있는 사업이다. 자율주행차 시장을 넘보는 회사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국내 사업자 중 자율주행차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현대차와 SK텔레콤의 속내는 한마디로 '자율주행차가 돈이 된다'는 것. 

◇ 자동차, 더 많이 팔린다

자동차는 대표적인 유휴자원이다. 실제 주행하는 차량보다 주차장에서 놀고 있는 게 훨씬 많다. 미국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운행되지 않고 주차장에 머무는 차가 전체의 90%가 넘는다.

이런 틈을 파고든 게 우버가 하는 카쉐어링 사업이다. 이는 운전자들이 차량을 타인과 나눠 쓰는 개념이다. 운전자들은 자신 차량을 활용해 돈을 벌고, 우버는 돈 버는 운전자 상대로 수수료를 받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현재까지 카쉐어링은 운전자들이 직접 운전해서 차량을 나눠쓰는 방식으로 운용되는데, 완전 자율주행차 시대가 오면 차량은 운전자 없이도 주행하고 주차까지 해낼 수 있어 자동차 이용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전망이다.

특히 완전 자율주행차 시대가 열리고 카쉐어링이 더욱 활성화되면 차를 더 많이 팔리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차장에서 노는 차량이 카쉐어링을 통해 과거보다 많이 가동되면 차량 노후화가 가속화돼 신차 판매량이 증가할 것이란 기대다. 이에 따라 카쉐어링 비즈니스 모델에는 BMW, 폭스바겐, 현대차 등 완성차 업체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차량을 타인과 나눠 쓸 때 발생하는 큰 불편 중 하나는 사람이 차량을 수령하러 가야 하고, 반납할 때도 사람이 있어야 한다는 점인데 완전 자율주행차 시대엔 이 과정이 필요 없어 대중화 속도 또한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자동차 가운데 10분의 1만 운행되는데, 이런 차를 활용하는 카쉐어링 사업이 차량 비즈니스를 전혀 다른 형태로 바꿀 것"이라며 "자동차가 지금보다 10배 더 굴러다니면, 10배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그래픽=SK텔레콤]


◇ ICT 사업자들의 기대는?

 

현재 등장하고 있는 자율주행차는 완전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진 않다는 평가다. 완성차들이 선보인 '부분' 자율주행차는 각종 센서와 레이더, 카메라 등을 기반으로 100~200미터(m) 거리와 반응해 주행을 돕는 수준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그런데 SK텔레콤, KT 등 통신사들이 개발하고 있는 5세대(5G) 이동통신이 도입되면 기지국이 제공하는 네트워크의 지원을 받아 자율주행차의 시야가 크게 확대되고 제동 속도 또한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5G는 4G보다 100배 빨라 고속으로 달리는 자율주행차에 필수적인 기술이므로 B2B(기업 간 거래) 영역에서 통신사들이 손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얘기다. 통신업계 고위 관계자는 "자율주행차와 같은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는 안전과 직결돼 있어 머니타이제이션(수익화)이 쉽고, 새로운 서비스도 무한히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통신사들이 거는 기대는 '망 깔고 가욋돈 벌기'식이다. 완전 자율주행차 시장 자체도 노리고 있다. 완성차 업체와 제휴하는 방식으로 완전 자율주행차 기반의 사업을 모색하고 있다. BMW와 '커넥티드카' 사업을 진행 중인 SK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무인 카 쉐어링 영역이 가장 적합하다고 보고 있으나, 무인 택시와 무인 물류트럭 등의 서비스도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통신사들 비롯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기업들은 미디어, 빅데이터,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IT 기술을 자율주행차에 적용해 수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무엇보다 자율주행차를 구동시키는 IT 플랫폼을 만들어 시장 주도권을 쥐는 게 이들의 큰 목표다. 각종 서비스를 갖다 붙이는 건 자동차 업계 대상의 영업이 필요하지만, 그것을 운용하는 플랫폼을 만들면 입장이 바뀐다. 

 

 

▲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부품들.[자료=보쉬]

 

◇ 순탄하지만은 않아

 

기술개발 속도를 보면 2030년 무렵이면 완전 자율주행차를 많은 거리에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완성차, ICT 업계의 기대만큼 국내 사정이 밝다고 장담하기는 어렵다. 핵심 기술은 대부분 외국 기업이 갖고 있으나, 기술 개발은 하루 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독일 보쉬 관계자는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센서가 정보를 잘못 인식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자동차에 부품을 붙이고 다양한 경로를 수천 킬로미터 달리게 하면서 안전성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외 기업 인수나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것도 해답 중 하나다. 국내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이에 대해 "각종 업계와 만나고 있다"며 "서로의 이해가 맞아야 되는 부분인데, 필요한 시점에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기술개발 외에도 자율주행차에 대한 인식의 전환, 도로 인프라, 운전 행태 등을 큰 걸림돌로 보고 있다. 

 

자율주행차 업계 관계자는 "무인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 불안감을 줄이는 것이 자율주행차 산업 활성화의 관건인데, 국내 도로 상황을 보면 신호등의 크기나 위치가 제각각이고 불법 유턴 등 운전행태도 선진국과 큰 차이가 나서 자율주행차가 제대로 작동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자율주행차에 필요한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 핵심 부품도 외국산이 대부분이어서 시장이 열리면 엉뚱한 곳이 돈 벌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시리즈 끝]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