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기자수첩] 중국의 롯데 보복, 부메랑은 생각 안하나

  • 2017.03.03(금) 18:00

"경영친화적 국가 이미지 훼손" 지적
비용상승+정책불투명 탈중국 가속화 가능성


롯데가 난감하다.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때문이다. 정부에 사드 부지를 제공키로 한 것이 화근이 됐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중국이 들고 일어났다. '롯데 불매운동'부터 '한국과 외교단절' 주장까지 원색적인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엄밀히 이야기하면 롯데는 피해자다. '부지를 제공해도, 안해도' 두드려맞을 것이 자명한데 답안지는 내야하는 처지였다. 롯데그룹이 이 사안에 대해 "공식적으로 노코멘트"를 지속하는 이유다. 

롯데 관계자는 "고민이 많았다. 하지만 정부가 그 부지를 찍어둔 이상 내줄 수밖에 없다. 이것이 기업의 숙명이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그래서인지 국내에서는 '롯데때리기'가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문제는 중국이다. 관영 매체들을 중심으로 협박 수준의 기사들을 쏟아내고 있다. 불매운동 등 실제 행동에 들어간 사례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 중국에서 대규모 사업, 특히 유통업을 하고 있는 롯데에게는 큰 악재다.

중국이 이처럼 사드배치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놓고, 일각에서는 '직접적인 위협보다 패권주의가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아시아에서의 패권을 미국에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데 한국의 사드 배치가 좋은 빌미가 됐다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경제보복이 오히려 한국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참에 중국에 편중된 교역 비중을 줄이고 동남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을 찾아 나서야한다는 주장이다. 한국의 중국 교역 비중은 전체중 23%로 가장 크다. 미국과의 교역 비중이 12%다. 중국 비중이 미국보다 2배가량 많다.

그동안 중국이 경제 보복을 가했던 나라들의 공통점은 무역전쟁을 벌였을 경우 승산이 있다고 판단되는 나라들이었다. 프랑스, 일본, 필리핀, 몽골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 미국, 독일 등에 대해서는 정치적인 문제로 직접적인 경제보복 조치를 취한 적이 없다.

우리 기업들이 참고할만한 사례도 있다. 노르웨이가 대표적이다. 노르웨이는 지난 2010년 중국 반체제 인권 운동가 류샤오보를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중국은 이에 반발, 노르웨이산 연어 수입 금지 보복조치를 취했다. 하지만 노르웨이는 수출지역 다변화 전략으로 수출량을 더욱 늘렸다. 현재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은 2만3000여개다. 이 기업들이 수많은 중국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미국 LA타임즈는 "중국이 한국의 콘텐츠를 막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주변 국가들로 하여금 베트남과 같은 다른 국가들로 투자를 돌리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호주의 시드니모닝헤럴드도 "단기적으로는 한국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중국에도 마찬가지로 악영향을 줄 것이며, 중국이 경영친화적인 국가라는 이미지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제보복이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한국 기업들도 이 기회에 수출 또는 현지진출 지역을 다변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이미 많은 기업들이 경제정책 불투명성, 인건비 등 비용상승을 이유로 베트남 등 다른 나라로 이동하고 있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수는 2010년 3893개에서 2015년 3639개로 줄었다. 반면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기업은 2014년 4042개에서 지난해 5400여개로 급속히 늘고 있다. 이중에 많은 기업이 중국에 진출했다가 더 좋은 투자처를 찾아왔다고 한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