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젊은 여성' 보이스피싱 타깃이 된 이유

  • 2017.04.05(수) 12:10

전체 피해 중 74%가 20~30대 여성
전문용어로 현혹·의심 적은 점도 악용

"김지영 씨죠? 서울중앙지검 이대상 검사라고 합니다. 지영 씨께서 최근에 명의도용을 당해서 예금 인출 위험이 있어서 전화했습니다. 사건번호랑 홈페이지 주소 보내드릴 테니까 확인해보시고요. 계좌 안전조치라고, 일단 금융감독원에 돈을 맡겨서 예금을 보호받아야 합니다. 여의도역 3번 출구에 금감원 직원이 나와 있을 겁니다. 그쪽으로 오시면 됩니다."

정부 기관으로 속이며 주로 20~30대 젊은 여성을 노리는 보이스피싱 피해가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피해 규모가 커지고 범죄가 점차 대범한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보고 5일 소비자 경보를 발령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수사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금은 1월 9억7600만원 수준에서 12월에는 34억2100만원으로 많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 중 20~30대 여성의 피해 건수는 74%(2152건)을 차지했다. 특히 최근에는 금감원 건물 인근에서 현금을 받아가는 등 수법도 점점 대담해지고 있다.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은 사법기관 등의 권위를 내세우면서 '사건번호', '명의도용', '계좌안전조치' 등 전문 용어를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특징을 이용해 법과 규정, 상사의 지시사항을 잘 준수하는 사무직 여성을 노린다는 게 금감원의 분석이다.

▲ 자료=금융감독원

20~30대 여성의 경우 사회경험이 부족해 사기에 대한 의심이 적은 데다가 남성보다 사회진출이 빨라 목돈을 모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노렸다. 심리적인 압박을 주면 사건에만 몰입할 가능성도 크고, 무엇보다 사기 현장이 발각돼도 물리적 제압이 가능하다고 생각해 '쉽게'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20~30대 여성이 자주 사용하는 온라인 매체 등을 활용해 수사기관·금감원 사칭 보이스피싱 수법을 집중적으로 전파할 계획이다.

김범수 금감원 불법금융대응단 팀장은 "전화로 정부기관이라며 자금 이체나 현금 전달을 요구하면 100% 보이스피싱"이라며 "일단 전화를 끊고 해당 기관의 공식 대표번호로 전화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