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마크파버&출구전략]"세계경제 위기 뇌관..美 아닌 중국"

  • 2013.10.08(화) 17:07

<비즈니스워치 글로벌 경제 세미나 시즌1>
"중국 경기 둔화 원자재 생산국에 타격"
"거품 있는 中 주의깊게 봐야"

"프랑스나 독일 같은 나라들은 당장 별로 중요하지 않다. 지금은 중국이 세계경제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마크 파버)

 

"중국은 연착륙도 아니고 경착륙도 아닌 '범피 랜딩(bumpy landing, 덜컹덜컹 흔들리는 착륙)' 과정이다. 앞으로 2~3년은 중국에 신경을 집중해야 한다"(오석태)

 

8일 '비즈니스워치'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 글로벌 경제 세미나에서 마크 파버와 국내 경제 학자들은 현재 세계 경제의 가장 큰 위험요인(리스크)으로 '중국의 경기 둔화'를 첫 손에 꼽았다.

 

◇ "영향력 커진 중국의 성장둔화 원자재 생산국에 타격"

 

'닥터 둠'으로 유명한 마크 파버 글룸붐앤둠(Gloom, Boom&Doom) 편집자 겸 발행인은 현재 글로벌 경제에서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 무엇이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중국의 경기 둔화"라고 짚었다.

 

파버는 "중국의 경기 둔화는 중국 수출의 가장 큰 고객이기도 한 원자재 생산 국가에 타격이 클 것"이라며 중국의 리스크가 이머징 국가에도 위험이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강조했다.

▲ 마크파버는 8일 글로벌 경제에서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은 중국의 경기 둔화라고 분석했다.

 

그는 해외여행 급신장을 예로 들어가며 중국의 영향력을 설명했다. 1980년대 중반까지도 중국 해외 여행객들들 보기 어려웠지만 올해 9000만명, 내년엔 1억명이 해외여행하고 있을 정도로 주변국 경기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파버는 "프랑스나 독일 같은 국가들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며 "오히려 중국이 세계경제 성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中 급속하게 늘어난 빚 언젠가 꺼져..안심하긴 이르다"

 

오석태 소시에테제네랄 조사부 부문장(이코노미스트)도 "이제 거품이 꺼져가고 있는 선진국보다 거품이 안 꺼진 나라가 위험하다"며 "결국 중국이 가장 큰 리스크"라고 짚었다. 

 

그는 최근 수 년간 중국의 빚이 매우 급속하게 늘었다는 것을 문제로 꼽으며 "무한정 가는 거품은 없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과정이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 이코노미스트는 거품이 꺼지는 과정에서 "중국이 경착륙 한다는 것은 너무 끔찍한 일"이라며 "연착륙이냐 경착륙이냐 논란이 있지만 이도저도 아닌  '범피 랜딩'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중국을 안심하고 보기는 아직 먼 시점이고 향후 2~3년은 중국에 신경을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 "신흥국들의 중국 의존도가 커진 상화이기 때문에 중국과 다른 신흥국들은 공동운명체"라며 "중국에서 조금만 문제가 생기면 다른 브라질이나 인도 같은 다른 신흥국이 받는 타격은 더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몇년은 유럽 등 선진국을 지켜봐야 했지만 앞으로 몇년은 신흥시장을 더 주의깊게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 "세계적 실업 스트레스, 정치 변수로"

 

윤창현 한국금융연구원장은 전 세계적으로 내년 성장률 예상치가 플러스로 나오고 있는 상황을 다행스럽게 봤다. 하지만 회복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점은 주의깊게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원장은 "대표적인 후행지표인 실업률은 경제가 조금 좋아질 때는 움직이지 않지고 아주 좋아져야 뒤따라 오른다"며 "각 나라들이 내년에도 여전히 실업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실업과 연계한 각 국 정부의 정치적 리스크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라고 꼽았다. 윤 원장은 "대다수 나라에서 국민들이 취업에 대한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며 "이 때문에 좌파에서 우파로, 우파에서 좌파로 정권이 바뀌는 상황이 연출되는 데 이 점이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원래 정했던 방향으로 정책을 집행해야 하는데 재선, 집권 연장 등에 대한 정치적 부담 때문에 진통제적인 처방을 쓰는 경우가 많다"며 "정치적 리스크를 빗겨 가면서 가장 효율적인 정책을 쓸 수 있느냐가 국가 간 차이를 부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