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②‘플랜B’ 없는 삼성…이재용의 '믿을맨'은?

  • 2017.08.25(금) 16:54

[삼성 이재용 1심 선고]
삼성 "비상경영기구 계획 없어"…이 부회장 복귀가 최우선
권오현 부회장 등 전문경영인 중심의 자율경영 유지할 듯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유죄판결로 재계 1위 삼성의 총수부재가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삼성이 꺼낼 위기수습책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고(故) 이병철 선대회장과 이건희 회장은 사회적 논란이 있을 때 경영현장에서 잠시 떠나있던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총수가 유죄판결을 받고 수감 중인 사태는 삼성도 처음겪는 일이다. 삼성 관계자는 "할 말이 없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삼성은 지난 2월 미래전략실 해체 후 계열사 자율경영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미전실은 인사와 감사 기능을 통해 총수를 보좌하고 계열사들의 업무를 조율하는 역할을 했는데 더는 일사분란한 지휘체계가 작동하지 않게 된 것이다.

삼성은 미전실 해체와 함께 계열사 사장들의 모임인 사장단회의도 폐지해 지금은 그룹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체계적인 조직이나 인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계열사 62개(공정위 발표, 5월 기준), 자산총액 363조원, 임직원수 50만명의 거대 그룹이 선장 없이 바다에 떠있는 상황에 비유할 수 있다.

대안으로 비상경영위원회 같은 기구를 생각해볼 수 있지만 삼성은 "그런 계획은 없다"며 선을 그었다.

법적 책임 없이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는 비판을 받아 미전실도 해체했는데 이를 번복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는 게 부담이다. 무엇보다 비상경영기구는 말그대로 비상시기에 운영되는 임시기구일 뿐이다. 조(兆) 단위의 투자나 기업의 장기전략을 짜는데는 한계가 있다.

다만 한화, CJ, SK처럼 그룹 총수가 장기간 수감돼 경영공백을 겪은 그룹들의 경우 전문경영인이나 오너 일가가 참여하는 비상경영기구로 위기를 수습했던 전례에 비춰볼 때 삼성도 이와 유사한 기구를 검토할 수 있다는 관측은 꾸준히 나온다.

한화는 김승연 회장 수감 당시인 2013년 전문경영인 3명이 전원합의해 그룹의 주요사안을 결정하는 비상경영기구를 가동했고, 비슷한 시기 CJ는 이재현 회장의 외삼촌인 손경식 회장이 이끄는 비상기구를 뒀다. SK는 2013년 초 그룹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를 확대해 최태원 회장의 공백을 메웠다.

삼성도 2008년 사장단협의회라는 집단경영체제를 가동한 경험이 있다. 하지만 협의체의 특성상 과감한 투자나 변화보다 현상 유지에 머무르다보니 활동기간은 1년8개월에 그쳤다. 설사 비상경영기구를 만들어도 이를 이끌 중량감있는 인사를 찾는 것도 숙제다. 그동안은 최지성 부회장이 그룹 전반을 관장했지만 그 역시 이번 재판에서 유죄판결을 받고 법정 구속됐다.

현재로선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과 윤부근·신종균 사장, 최치훈 삼성물산 사장, 김창수 삼성생명 사장 등 전문경영인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계열사별 경영을 책임지는 형태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은 이 부회장의 복귀에 주력하는 게 위기 극복의 가장 빠른 길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미전실마저 해체된 상황이라 그룹 차원에서 무언가 결정하고 움직일 수 있는 게 없다. 계열사 사장들을 믿고 맡기는 수밖에 없지 않겠냐"고 했다.

 

일각에서는 이 부회장을 대신해 동생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등 오너 일가가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지만 현실성은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다. 전자와 금융 등 삼성의 핵심 계열사를 지휘한 경험이 없어 소방수 역할을 떠맡기엔 한계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