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주총시즌 앞둔 재계…이유있는 주주 ‘구애’

  • 2018.01.19(금) 16:32

文정부 ‘재벌개혁, 주주권익강화’ 메시지 이후
현대차·SK·삼성 등 너도나도 ‘주주 친화 정책’

삼성전자, 현대·기아차, SK㈜, 롯데쇼핑, 효성 등 굴지 대기업들이 너도나도 주주 환심 사기에 나서고 있다.

재계가 주주 친화 정책을 늘어놓는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올해는 더 경쟁하는 모양새다. 문재인 정부가 재계에 ‘재벌 개혁’, ‘소액주주 권익 강화’ 등의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보낸 뒤 나타난 움직임이다.
 
오너 일가 위주 경영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그동안 소홀했던 다른 주주 의결권 행사나 이익 배분에 더 신경을 쓰겠다는 내용이 많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런 움직임은 경영권 강화나 승계 등에 표심이 필요한 때도 종종 목격돼 왔다.

 

올해 정기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부는 재계 주주친화정책 바람이 다수 주주가 흡족할 결실로 이어질지 관심사다. 또 이런 과정이 기업 체력에 실제 도움이 될지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
 

▲ 그래픽/유상연기자 prtsy201@


◇ 현대차그룹, 주주가 사외이사 직접 추천

현대차그룹은 올해부터 주주들이 자신들을 대변할 사외이사를 뽑는 데 직접 참여할 수 있도럭 하는 제도를 도입키로 했다. 지난 18일 주주 권익을 보호할 사외이사 후보를 주주들로부터 직접 추천 받겠다고 공표한 것. 올해 현대글로비스를 시작으로 2019년 현대차, 기아차, 2020년 현대모비스 등 주력사들이 차례로 이런 제도를 도입한다.

현대차그룹 내 이 4개사에는 이사회 내 독립적 의사결정기구인 투명경영위원회가 꾸려져 있다. 이 위원회는 주주권익보호담당 사외이사가 관장한다. 이 사외이사 역할은 주주 관점에서 의견을 적극 피력하고 주요 의사 결정 때도 주주 입장을 최우선으로 반영하는 하는 것. 이사회와 주주 간 소통의 '가교'인 셈이다.

현대차그룹은 주주 추천을 홈페이지 공모 방식으로 제한 없이 받기로 했다. 이를 학계, 지배구조(거버넌스) 전문기관, 국내외 투자기관의 거버넌스 전문가 등 외부인사 3~5명으로 구성된 자문단이 추린다. 이어 이사회 내 사외이사후보추천위에서 최종후보를 선정하고 이 후보를 주주총회서 결의해 선임하는 절차다.

투명경영위나 주주권익보호담당 사외이사, 또 이에 대한 공모 제도는 차후 현대제철과 현대건설 등으로 확산시킨다는 게 그룹 방침이다. 현대차는 2015년부터 투명경영위를 내부에 뒀고 깉은 해 7월 주주 요구에 따라 처음 중간배당을 실시하고, 2016년에는 배당금액을 전년 대비 33%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 SK, 전자투표제 도입 이어 슈퍼주총 깨기

SK그룹은 올해부터 여러 계열사가 한 날에 주총을 몰아서 하는 관행을 깨기로 했다. 지난 18일 SK그룹 지주회사인 SK㈜가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하이닉스 등 그룹 내 주요 계열사와 협의해 주총을 3월중 분산 개최하기로 한 것. 주요 대기업집단 중 주총 분산 개최는 SK그룹이 처음이다.

SK㈜ 관계자는 "여러 회사가 동시에 주총을 열어 주주 참여가 제한되는 등 기존 '슈퍼주총데이'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주주 편의를 높이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SK그룹은 작년 역시 5대 그룹 중 처음으로 전자투표제를 도입하기도 했다. 주총에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주주도 온라인으로 의결권을 행사토록 하는 것이다. 주주친화에도 공을 들이는 그룹 '딥 체인지 2.0' 경영전략의 일환이다. 계열사중 SK이노베이션이 가장 먼저 이를 시행키로 결정했고 이어 지주사인 SK㈜도 따랐다.

SK㈜는 이사회 역할 강화 취지로 사외이사로 구성한 '거버넌스위원회'를 설치하고 배당 성향을 확대하는 등 주주가치 제고 노력를 지속해왔다고 설명했다.

  


◇ 롯데·효성도 주주 환심사기
 
앞서 삼성그룹에서는 삼성전자가 작년 10월말 대대적 주주환원 정책을 내놨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총 29조원을 주주들에게 배당한다는 게 골자다. 배당 재원에서 인수합병(M&A)에 소요되는 자금도 빼지않아 주주들이 환원 규모를 보다 투명하게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들어갔다.

작년분 배당금액도 지난해 4조원보다 20% 증가한 4조8000억원으로 확대했다. 작년 분기배당제를 도입한 뒤 3차례에 걸쳐 2조8970억원을 풀었고 올해 결산배당으로 1조9000억원을 풀기로 했었다. 올해부터 3년 동안은 작년 배 수준인 9조6000억원을 매년 지급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당시 올해 1월까지 2조3000억원의 자기주식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했다. 자사주 소각은 기존 주주의 의결권이나 배당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이어 그룹 사실상 지주사인 삼성물산도 이달 초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매년 주당 2000원을 배당하겠다는 주주친화정책을 내놨다. 배당금 지급 규모는 매년 3300억원으로, 2016년 908억원(주당 550원)보다 3.6배 증가한 것이다. 삼성물산은 또 이사회의 전문성과 다양성 제고 차원에서 글로벌 기업 출신의 외국인 사외이사 영입도 검토 중이다.

롯데그룹, 효성그룹 등도 지배구조 개편, 경영권 승계 등과 맞물려 주주친화 정책들을 내보이고 있다. 롯데 경우 지난 10월 롯데지주를 출범시키며 기존 67개였던 순환출자 고리를 13개로 줄였는데 이에 앞서 롯데쇼핑 등 주요 계열사 배당성향을 2배 상향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효성은 작년 조석래 명예회장에서 그 장남 조현준 회장 체체로 교체되는 시기를 겪으며 배당 등 주주 친화적 정책이 예견돼 왔다. 최근 지주사 전환 계획 발표 이후엔 분기 및 반기 배당을 가능하게 하는 정관 변경을 이사회에서 결의하기도 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