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비트코인, 그 새로운 도전

  • 2013.12.04(수) 15:22

기자가 대학에 갓 입학했을 때만 해도 인터넷 서핑보다 PC통신이 훨씬 더 익숙했던 시기였다. 당시 학교 컴퓨터실에서 한 이메일 사이트에 가입해 아무 생각 없이 메일주소를 만든 기억이 생생하다. 처음엔 메일을 보낼 대상조차 없었다. 하지만 이후 여러 개의 메일 아이디를 더 등록하게 됐고 난생처음 만들었던 이메일을 가장 익숙하게 드나든다. 개념조차 생소했던 것이 지금은 그냥 생활의 일부가 됐다. 

 

에드워드 스노든과 위키리크스의 줄리언 어산지, '월가를 점령하라' 시위대를 떠올려보자.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는 비트코인을 본래 옹호했던 사람들을 이들로 표현했다. 빛보다는 어둠에 가깝고, 주류보다는 비주류에, 국가라는 중앙집권적 기구에 대항하는 진보적인 주체에 좀 더 가까웠다는 얘기다.

 

그러나 불과 몇년사이 비트코인은 차츰 대중화되면서 일반인들의 입에서도 쉽게 오르내리고 있다. 화폐의 위상을 위협할지 말지의 파급력을 떠나 정말 몇년 안에는 내 스마트 지갑 안에 비트코인이 들어있을지 모를 일이다.

 

비트코인은 어찌보면 화폐보다 평소 우리가 지니고 다니는 신용카드와 유사하다. 일종의 결제시스템이라는 얘기다. 이럴 경우 오히려 달러나 유로가 아닌 비자와 마스터 등의 카드사들을 위협할 존재다. 이들의 주된 수입원인 수수료를, 비트코인을 통한 결제에서는 물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존의 규제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식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비트코인은 상당한 획을 그은 것임은 분명하다. 한낱 투기 수단으로 전락하고, 갑작스럽게 휴짓조각이 돼버릴 수도 있지만 비트코인이 탄생하고 사람들이 이에 열광하는 현상 자체를 무시할 수는 없다.

 

FT는 지금의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나 구글의 검색 서비스 모두 처음엔 시작이 미미했고 전혀 일상생활에서 필요없을 것 같았지만 결과적으로는 대기업들에게 위협이 된 것을 상기시키며 비트코인 역시 화폐와 경제, 사회 사이의 신뢰가 어떻게 유지되는지에 대한 일종의 미스테리라고 표현했다. 특히 유럽 국가들이 만들어낸 유로화도 기대와 우려 속에서 탄생했고 유로화에 대한 신뢰에 한계가 분명 있었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비트코인이 사이버골드에서 사이버머니로 도약하기 위해 존재하는 한계를 넘어야 한다. 비주류에서 주류로 가기 위한 필수 과정이다. 하지만 상상력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형태로 생겨난 비트코인이 기존의 인터넷처럼 생태계를 꾸려가고 그 결과가 실패든 번영이든 자기 길을 찾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의미가 있다.

 

또 비트코인이 정착되기 위해 일부 규제가 필요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노력들이 결과적으로는 비트코인의 위험성이나 약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최근 비트코인 재단 창립자인 패트릭 머크는 비트코인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비트코인을 안전한 수단으로 만들기 위해 기업들이 관련 인프라를 설립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많은 비트코인 거래소도 양에서 질적인 성장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는 존재의 유무를 이미 넘어선 안착을 위한 고민에 더 가깝다.

 

아직은 비트코인은 신드롬에 가까워 보인다. '신드롬'은 어떤 것을 좋아하는 현상이 전염병처럼 전체를 휩쓸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좋은 신드롬도 있지만 나쁜 신드롬 역시 많다. 비트코인을 일확천금을 쫓는 투기열풍으로 치부할 수 있지만, 여러 장점들에 이미 익숙해지고 있다. 시간이 흐른 뒤 결정될 결과를 점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당장 눈앞에 펼쳐지는 다이나믹한 광경과, 치열한 논쟁의 과정을 지켜보는 것도 흥미롭다. 새로운 도전 앞에, 손에 땀이 난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