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새판' 우리은행]②16년만에 정부 족쇄 벗는다

  • 2016.11.13(일) 16:14

2001년 우리금융 편입 이후 4전5기 끝 성공

금융위원회가 우리은행 지분 30% 매각에 성공했다.

 

우리은행은 4전5기 도전 끝에 민영화를 위한 첫 단추를 성공적으로 뀄다. 2001년 예금보험공사를 최대주주로 둔 우리금융지주로 편입된 지 16년 만이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은 낙하산 인사와 예산 통제 등 정부의 입김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정부가 여전히 단일 최대주주라는 점에서 완전한 민영화로 보긴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 4전5기 끝에 과점주주 매각 성공

 

우리은행은 외환위기 전 국내 대표 은행이던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의 합병으로 탄생했다. 두 은행은 외환위기를 넘지 못하고 2001년 예금보험공사가 최대주주로 있던 우리금융지주로 편입되면서 정부 소유 은행이 됐다.

 

그동안 우리은행의 민영화 과정은 말 그대로 질곡의 연속이었다. 2010년 이후 네 차례나 민영화를 시도했지만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정부는 2010년 처음으로 경영권 매각 공고를 냈지만 유효 경쟁이 성립하지 않아 실패했다. 2011년 두 번째 매각 작업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던 강만수 전 산은금융지주 회장의 개입 논란으로 물 건너갔다. 결국 MBK파트너스만 예비입찰에 참여하면서 유효 경쟁이 성립하지 않았다.

 

세 번째 시도였던 2012년 매각 역시 흐지부지 끝났다. KB금융지주와 교보생명 등이 관심을 보였지만 대형화 논란 등이 불거지면서 결국 입찰엔 아무도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자 정부는 통째 매각 방침을 틀었다. 2013년엔 지방은행과 증권사 등 계열사를 분리 매각했다. 경남은행은 BS금융지주, 광주은행은 JB금융지주에 매각했다. 우리투자증권과 우리바비바생명은 NH농협금융, 우리파이낸셜은 KB금융지주, 우리F&I는 대신증권에 넘겼다.

 

네 번째 시도였던 2014년엔 경영권 매각과 동시에 소수지분 매각을 병행했다. 우리은행 우리사주조합에 소수지분 3.99%를 팔았지만, 경영권 매각엔 또 다시 실패했다.

 

정부는 결국 지난해 경영권 매각을 아예 포기하고, 지분을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도입해 이번에 목표를 이뤘다. 다만 정부가 여전히 단일 최대주주라는 점에서 완전한 민영화로 보긴 어렵다.

▲ 우리은행의 전신인 대한천일은행 본점 광통관의 모습이다. 현재 우리은행 종로 지점으로 쓰고 있다. (사진=우리은행 제공)
◇ 대한천일은행부터 위비뱅크까지 
우리은행의 역사는 117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은행의 전신은 1899년 설립된 대한천일은행이다. 대한천일은행은 국내 최초 민족자본 은행이다. 고종 황제가 자본금을 댔으며, 정부 관료와 조선 상인도 주주로 참여했다.
 
대한천일은행은 일제강점기에 민족은행의 역할을 했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외국계 은행들이 진출할 때에도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공고히 했다.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상인을 대상으로 예대 업무를 하며 영업망을 확장했다.
 
광복 후엔 경제 성장을 적극 지원했다. 1967년엔 경공업 육성을 위해 중소기업금융부를 신설했으며, 외국환 업무도 국내 최초로 도입해 수출산업 발전을 도왔다. 1968년엔 일본 동경에 해외 지점을 은행권 최초로 열었다.

 

최근엔 글로벌 진출과 함께 핀테크를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최초로 해외 상장 은행을 인수해 인도네시아 우리소다라은행을 출범했고, 캄보디아 소액 대출업체 말리스를 인수했다. 올해엔 필리핀저축은행을 인수했다. 국내 최초로 모바일은행인 위비뱅크도 우리은행의 작품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