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화장품기업에 화색이 돕니다

  • 2017.05.11(목) 16:22

새 정부 출범 후 이틀 연속 주가 상승
사드 리스크 해소·산업육성 기대감
업계 "깜깜이 나고야 의정서도 대응 나서야"

최근 대표적인 화장품기업의 주가흐름은 중국의 사드 보복에 따른 리스크가 해소될 것이란 기대가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국내 1위 화장품기업 아모레퍼시픽 주가는 문재인 대통령 당선이 확정된 10일 전일대비 3.45% 상승한데 이어 11일에도 4.79% 올랐다. LG생활건강도 10일 1.69% 올랐고 11일에도 2.91% 상승마감했다.

 

이들 기업은 중국의 사드보복이 가시화된 뒤 주가 하락과 실적 악영향 등으로 고심해왔다. 때문에 최근 주가흐름은 문재인 대통령이 언급한대로 사드배치가 재검토되거나 중국과 대화를 통해 보복이 철회되거나 '사드보복 리스크'가 줄어들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라는 분석이다. 

 


◇ 수치로 나타난 사드보복 영향

지난 2월말 롯데가 성주골프장을 사드부지로 제공키로 결정한 뒤 아모레와 LG생건 주가는 사드 관련 이슈가 부각될때마다 출렁거렸다. 중국 국가여유국이 한국 여행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3월3일, 중국 소비자의 날 직후인 3월16일, 우리 정부가 중국을 WTO에 제소할 수 있다고 밝힌 3월20일 등이 대표적이다.
 
실제로 중국 사드보복이 기업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1분기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5.5%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9.7% 감소한 3785억원을 기록했다.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크게 줄면서 면세점 매출 비중이 큰 대표 브랜드 이니스프리와 에뛰드하우스가 부진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3월 방한한 중국인 수는 36만782명으로 전년동기대비 40% 감소했다. 이로인한 영향으로 에뛰드하우스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29% 줄어든 88억원을 기록했고 이니스프리도 11% 줄어 463억원에 그쳤다.
 
LG생활건강의 경우 사업이 화장품뿐 아니라 생활용품, 음료로 다각화돼 있고 화장품도 중국 현지 판매가 선전하면서 아모레퍼시픽그룹과 달리 수익성도 양호했다. 하지만 화장품 면세점판매는 악영향을 받았다.
 
아모레퍼시픽그룹과 LG생활건강은 1분기보다 중국 관광객 감소 영향이 더 큰 2분기 이후가 걱정이 많았다. 중국 관광객이 줄어든 상황이 장기화되면 LG생활건강조차 면세점판매 부진에 따른 영향이 가시화될 것이란 우려다. 

◇ "중국은 여전히 화장품산업 주요 변수..불확실성
해소 기대"

화장품기업 실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상태에서 새 정부 출범은 그 자체로도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통령 탄핵 등으로 중국이나 미국 등 주변국과 대화와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지만 새 정부 출범으로 달라질 것이라는 기대감이다.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이 사드배치 재검토까지 거론한 상태라 사드 보복 리스크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더 높아진 분위기다.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사드 관련 불확실성 해소가 우선"이라며 "화장품시장이 계속 커져가는 상황에서 기업마다 장단기 사업확장 플랜이 있다. 이를 안정적으로 이행해낼 수 있는 경영여건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동남아와 이슬람 등 다른 국가들에 눈을 돌려 관련 투자를 늘려나가고 있지만 (중국을 대체할만큼) 충분한 이익으로 돌아오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느낀다"며 "한국 화장품기업으로서는 포기할 수 없는 중국시장에서 우리 기업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새 정부에서 유연하게 대처해주리라 본다"고 기대했다.

◇ 화장품산업 육성 공약에도 기대감…"나고야 의정서 대책 만들어달라"

문재인 정부 출범과 관련해 화장품업계에는 사드보복 리스크 해소 외에도 기대감이 하나 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다. 문 대통령은 화장품산업을 범정부 차원에서 육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를 위해 '화장품산업 육성 및 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부처 합동으로 제도정비에 나서겠다고 제시했다. 구체적인 지원방향은 ▲나고야 의정서 문제 해결 ▲글로벌마케팅 지원 ▲산업간 기술 연계 등이다.

화장품업계는 특히 나고야 의정서 문제 해결에 대해 기대가 크다. 나고야 의정서는 생물자원을 활용해 얻은 이익을 해당 자원의 제공국가와 나누도록 한 국제협약이다. 의정서가 시행되면 화장품기업은 그동안 지불하지 않던 생물자원 로열티를 부담해야 한다. 동식물을 비롯해 미생물, 바이러스까지 나고야 의정서의적용 대상이어서 이 같은 자원을 많이 쓰는 화장품업계에서 우려가 높다. 우리나라도 올해말까지 의정서를 비준할 계획이지만 대응책 마련은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등 자체적인 대응 준비를 하고 있다"면서도 "기업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구체적인 파악이 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국가가 명확한 상을 가지고 대응 체계를 마련해주면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의정서로 인해 기업활동에 발목이 잡히지 않도록 체계를 마련해주고 나아가 한국기업에 유리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