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금리 꿈틀..'공공의 적' 인플레 안심해도 되나

  • 2013.06.03(월) 11:42

전 세계 물가 안정기조 지속..부양 지속성 뒷바침
선진국 장기금리 꿈틀..중앙은행 부담 키워→경제 옥죌 수도

전 세계적인 부양기조에도 인플레이션은 아직 먼 얘기처럼 들린다. 유럽은 물론 미국과 일본에서도 안정된 물가 기조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과도한 유동성이 인플레를 초래하고 이를 잡기 위해 긴축에 나서면 경제를 급격히 위축시키는 끔찍한 시나리오는 과거에만 적용되는 것일까. 최근 미국과 일본 금리가 꿈틀거리고 있는지라, 점검이 필요한 대목이다. 경제가 제대로 살아나지 않는 상황에서 금리 상승은 상당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 자취 감춘 인플레..전 세계 "부양 앞으로"

지난 4월 세계 주요국들의 물가상승률을 살펴보면 놀라울 정도로 안정된 모습이다. 미국은 전년대비 1.1% 상승에 그쳤고 독일과 프랑스도 1.1%와 0.8%에 불과했다. 최근 공격적인 부양 피치를 올리고 있는 일본도 물가가 오히려 하락했다. 여기에는 낮은 상품가격이 크게 작용하지만 에너지와 식품가격 상승분을 제외해도 중앙은행들이 목표로 삼고 있는 2%대보다 인플레가 낮기는 마찬가지다.

유로존의 경우 본래 독일과 프랑스 등이 물가가 오르며 그리스나 스페인 같은 재정취약국의 마이너스(-) 물가를 상쇄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주요국들의 물가 상승세도 부진해 디플레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지난 4월 유로존 지역 물가상승률]


이렇다 보니 '공격적 부양=인플레'의 공식은 옛말이 됐다. 인플레 조짐이 없자 인플레 파이터였던 중앙은행들은 싸울 상대가 없자 마음놓고 돈을 풀고 있다. 부양기조는 당분간 계속될 태세다. 최근 유럽은 일부 국가들의 긴축시한을 연장해주면서 사실상 부양기조를 용인했다. 이번주 통화정책회의를 앞둔 유럽중앙은행(ECB)은 추가 부양이 기대되고 있고 영국 역시 통화완화를 둘러싼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다. 중앙은행들의 의도와 달리 인플레 기대 역시 크게 억제되고 있다.

◇ 금리가 오른다..부채부담 악순환 우려

인플레가 생각보다 멀리 있지 않다는 반론도 꾸준히 제기된다. 특히 최근 미국과 일본 국채금리가 오르면서 이를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난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크게 올랐고 뒤이어 주가도 크게 빠졌다. 배당주들이 급락한 배경으로도 작용했는데, 그간 저금리로 인해 매력이 부각됐던 배당주들이 금리가 오르자 일제히 빠진 것이다.

실제 미국 국채 금리가 2%를 웃돌면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의 배당수익률(1.9%)을 훌쩍 뛰어넘었다. 올해 뱅가드의 고배당주 수익률은 17%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물론 배당주에서 경기민감주로 매기가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배당주의 자금이탈에 따른 증시 부진은 일시적일 수 있다.

다만 금리가 오르면서 나타나는 자금 흐름 변화만큼은 예의주시해야 한다. 일본 역시 공격적인 부양 효과가 나타나기도 전에 장기금리가 상승하면서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미국 국채시장의 투매가 나온 후 큰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보유채권 만기를 줄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골드만삭스 역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자산매입과 아베노믹스의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꼽았다.
 


[미국 연준이 보유한 미국 국채 규모(단위:백만달러)]


사실 금리가 오르는 것 자체는 경제회복에 따른 청신호로 비칠 수 있다. 그러나 실물로 돈이 돌지 않는 상황에서 금리가 오를 경우 결과는 불보듯 뻔하다. 최근 미국의 모기지 금리가 상승한 것 역시 경기회복을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된 대표적인 부분이다.

미국 연준을 비롯, 각국 중앙은행들의 부양을 위해 막대한 채권자산을 매입하면서 금리 상승은 이들의 보유자산 손실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최근 연준의 자문위원회 의원들은 이런 연유에서 연준의 저금리 정책과 자산매입프로그램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최근 국제결제은행(BIS)은 저금리와 양적완화를 통한 막대한 현금 공급이 의미있는 경제 회복세 없이 자산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정부 채권의 양이 어느 때보다 큰 상황에서 금리 상승은 고스란히 국내총생산(GDP)의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BIS는 "이런 금리 리스크가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며 은행과 가계, 기업들로 확산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